반응형
0. 시작하며: 고려아연의 미래 기술 투자로 보는 로봇 시대 🌍
2025년 기준, 고려아연은 단순한 비철금속 제련 기업을 넘어, 산업 로봇과 자원순환 분야를 연결하는 기술 선도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습니다. 특히 CES 2025 혁신상을 수상한 로보원(RobOne)의 로봇 기술, 그리고 비슷한 시기 국내에 정식 공급을 시작한 보스턴다이나믹스의 스팟(Spot) 로봇을 통해 산업 현장 자동화의 다음 단계를 보여줍니다.
이번 글에서는 고려아연이 어떻게 로보원에 투자하며 자원순환 로봇을 실현했는지, 그리고 클로봇을 통해 국내 도입 중인 스팟 로봇과는 어떤 차별점이 있는지, 더 나아가 양자를 통합해 본 기업 전략의 의미를 정리해봅니다.
1. 고려아연의 전략적 투자: 로보원과 ‘트로이카 드라이브’
1.1. 로보원 투자 배경 및 개요
- 고려아연은 2024년 9월, **로보틱스 솔루션 기업 ‘로보원’**의 경영권 확보를 위해 약 150억 원(한국 언론 기준) 또는 약 15억 원(영문 보도 기준) 규모의 투자를 단행했습니다. 이 투자로 로보원 지분 약 60%를 확보하며 자회사로 편입했습니다 파이낸스스코프+15Chosunbiz+15koreazinc.co.kr+15.
- 이 투자 전략은 고려아연이 선언한 ‘트로이카 드라이브’ 전략의 핵심으로, 자원 순환, 신재생 에너지, 전지 소재 중심의 미래 사업 확대와 자동화 기술 확보 전략과 일맥상통합니다 koreazinc.co.kr+1.
1.2. 트로이카 드라이브와 자원순환 로봇 기술
- 로보원이 개발한 대표 모델인 **‘로빈(ROBin)’**은 전자폐기물(E‑Waste) 선별 분야에 특화된 AI 기반 선별 로봇으로, CES 2025에서 스마트시티 및 지속가능성/에너지 분야에서 혁신상 2개를 수상했습니다 koreazinc.co.kr+1.
- 미국 계열사 evTerra의 허브(시카고 등)에 설치되어 전자폐기물 분류 및 유가금속 회수 공정을 자동화하며 자원 회수율과 처리 효율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국제신문+2koreazinc.co.kr+2.
2. 로보원의 기술: 로빈(ROBin)의 작동 구조와 혁신
2.1. AIoT 기반 자동 선별 구조
- ‘로빈’은 카메라 기반 비전 인식, AI 판단, 진공 블로어를 통한 물리적 분류 시스템을 조합한 구조입니다. 컨베이어라인 위를 흐르는 폐기물들을 실시간으로 스캔하고, 타입별로 분류 후 회수합니다 koreazinc.co.kr.
- 이 기술을 통해 금속 회수율 향상, 작업자 부재시 자동 운영 가능, 빅데이터 기반 성능 개선이 병행되며 기존 수작업 대비 효율성과 신뢰성을 크게 높였습니다 국제신문koreazinc.co.kr.
2.2. CES 수상과 글로벌 경쟁력
- CES 2025에서는 스마트시티 분야와 지속가능성·에너지 분야에서 각각 혁신상을 받으며, 국내 로봇 기술의 국제적 위상을 공고히 했습니다 koreazinc.co.kr.
- 이 성과는 고려아연이 추구하는 그린 금속 생산, 자원회수, 스마트 팩토리로의 전환 전략이 유효하다는 점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3. ‘스팟(SPOT)’ 로봇: 국내 산업용 자동화의 진일보
※ 스팟 로봇은 고려아연 자회사 로보원 제품은 아니지만, 국내 도입 흐름과 유사·병행 맥락에서 중요한 기술적 흐름입니다.
3.1. 클로봇의 파트너십과 역할
- **클로봇(KloBot)**은 보스턴다이나믹스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해 **SPOT(스팟)**의 공식 리셀러 및 솔루션 제공사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koreazinc.co.kr+2국제신문+2clobot.co.kr+15헬로티+15m.ddaily.co.kr+15.
- 클로봇은 국내 최초로 온사이트 유지보수(On-site repair) 서비스를 구축하고, 자체 엔지니어를 본사에서 교육받아 스팟 유지보수팀을 구성했습니다 playforum.net+4헬로티+4m.ddaily.co.kr+4.
3.2. 기능 및 응용 분야
- SPOT은 4족 보행 로봇으로, 험로, 계단, 경사로도 이동 가능하며, 센서 기반 환경 인식(LiDAR, 카메라), 자율 주행, 원격 조작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ddaily.co.kr+6에이빙(AVING)+6이코노미사이언스+6.
- 열감지, 가스 감지, 3D 매핑, 로봇 암 장착 등을 통해 보안 순찰, 설비 검사, 위험지역 모니터링 등 다양한 미션 수행이 가능합니다 이코노미사이언스.
3.3. 도입 사례 및 계약 현황
- 인천국제공항공사는 SPOT 로봇 구매·설치 사업을 클로봇을 통해 추진 중이며, 지하공동구, 외곽 순찰, 공항 시설 관리 등에 활용할 예정입니다. 계약 규모는 약 10억 원대이며, 공항 운영의 안전성과 효율성 향상 기대됩니다 파이낸스스코프.
- 현대자동차 울산ㆍ아산공장에도 SPOT과 페이로드(부착장치)가 공급되었으며, 이는 클로봇 수주공시 기준 약 12.9억 원 규모입니다 (2024년 12월) hankyung.com.
4. 비교: 로보원의 로빈 vs 스팟(SPOT)의 역할 비교
항목로보원 ‘로빈(ROBin)’스팟(SPOT)
개발 및 공급주체 | 고려아연 자회사 로보원 | 보스턴다이나믹스 + 국내 공급은 클로봇 |
주요 응용 분야 | 전자폐기물 선별 자동화 (정밀 분류) | 시설 점검, 순찰, 위험 탐지 등 다목적 작업 수행 |
기술 특징 | AIoT·비전 기반 선별, 자동화, 데이터 기반 업데이트 | 사족보행 이동, 자율주행, 환경 인식, 모듈 확장 |
주요 도입사례 | evTerra 시카고 허브 등 해외 E-허브 | 인천공항, 현대차 공장 등 국내 산업 현장 |
혁신 인정 | CES 혁신상 2개 부문 수상 | 글로벌 기술력 기반 플랫폼 제품으로 평가 |
5. 고려아연 전략적 의미: 왜 로봇 기술인가?
5.1. 자원순환 자동화로 수익·환경 두 마리 토끼
- 고려아연은 전자 폐기물에서 유가금속 회수율을 높여 비용 절감 및 자원 효율성 극대화를 꾀하며, 동시에 환경에 미치는 영향 최소화도 추구하고 있습니다.
- 로봇 기반 자동화를 통해 신뢰성 확보 및 운영 안정성을 갖추며, 글로벌 환경 규제 대응 경쟁력도 강화하게 됩니다.
5.2. 산업용 로봇 시장 진입 발판 마련
- SPOT 도입 사례 및 기술 협력을 통해 고려아연은 자사 비철금속 사업뿐 아니라, **제련 공정·안전 점검·물류센터 등 다양한 산업에서 로봇 서비스를 확대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엿보고 있습니다.
- 뿐만 아니라 클로봇과의 협업, 로보원 기술 축적을 통해 로봇 솔루션 기업으로의 진화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6. 산업 구조 변화와 미래 방향
6.1. 전통 비철금속 기업의 기술 다각화
- 기존 제련소 중심 기업에서 벗어나, 로봇 기술·AI 기반 자원 순환 서비스 기업으로의 변화는, 산업의 수직 통합과 기술 집약형 경쟁력 확보 과정을 보여줍니다.
6.2. 글로벌 경쟁력 요소로 자리잡는 로보틱스
- 자원 회수 자동화, 산업 현장 점검, 인프라 유지보수 등을 로봇 기반 자동화 시스템으로 대체함으로써, 비용 절감, 인력 대체 위험 감소, 작업 안정성 확보가 병행됩니다.
- 이러한 시도는 한국 기업들이 국제 무대에서도 환경·자원·기술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는 전략적 요소가 됩니다.
7. 전망 및 향후 이슈
- 고려아연은 e-waste 처리 로봇을 미국 내 허브에 확산 적용할 예정이며, 이후 **다른 산업 공정(예: 제련, 배터리 공정)**에도 로봇 적용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clobot.co.kr+15에이빙(AVING)+15paxetv.com+15koreazinc.co.kr헬로티+6파이낸스스코프+6venturesquare.net+6ddaily.co.kr+2이코노미사이언스+2국제신문+1.
- SPOT 로봇의 국내 도입이 확대되면, 공공 인프라, 제조업, 건설현장, 나아가 스마트 시티 보안망에서도 활용될 가능성이 높으며, 클로봇의 역할도 함께 커질 전망입니다 파이낸스스코프hankyung.com이코노미사이언스.
- 궁극적으로 고려아연은 제련 중심 기업 → 자원순환 중심 기술 기업 → 산업자동화 서비스 기업으로 진화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통해 지속가능성과 수익성 두 축이 결합된 비즈니스 모델을 구현해 나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8. 마무리: 로봇은 또 다른 제련로다
고려아연이 오늘날 로보원에 투자하고 SPOT 기술 도입을 지켜보며 주목할 것은, 단순 투자나 기술 도입을 넘어 전통 제조업에 대한 기술적 구조 전환을 실행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 로빈 로봇은 e‑waste 회수율과 자동화를 연결하고,
- SPOT은 산업 현장에서 사람 대신 위험 구역을 순찰하며 안정성을 높이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이 둘은 다소 다른 플랫폼이지만, 고려아연의 전략에서 모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기업이 과거의 금속 제련 중심에서 벗어나 기술 기반의 스마트 자원 기업으로 바뀌려는 노력이 점차 구체화되고 있는 셈입니다.
앞으로 고려아연이 로봇 기술을 어떤 방식으로 확장 적용할지, 또 다른 분야에 어떤 혁신을 가져올지 기대가 됩니다.
반응형